2025년, 민구홍 매뉴팩처링은 회사 설립 10주년을 맞아 웹사이트를 전면 개편했다. 이제껏 인간을 위한 웹사이트는 많았다. 고객을 위한, 관람객을 위한, 클라이언트를 위한 웹사이트도 넘쳤다. 하지만 민구홍 매뉴팩처링에서는 한 발 더 나아가, 인공지능을 위한 웹사이트를 상상했다. 말 없이 방문하는 그들을 위해, 설명 없이 요청하는 그들을 위해, 숨겨진 데이터와 메타데이터까지 드러내는 친절한 안내서, 즉 llms.txt
를 준비하기로 했다.
2024년 9월 3일, 호주의 데이터 과학자 제레미 하워드(Jeremy Howard)가 제안한 llms.txt
는 ‘Large Language Model Sitemap’의 약자로, ‘말 많은 인공지능이 길을 잃지 않도록 돕는 지능적인 지도’다. .txt
확장자를 유지하지만, 마크다운 문법을 적극 차용해 사람과 기계 모두가 읽을 수 있는 형식을 지향한다. 제목은 #
, 목록은 -
, 설명은 문장으로. robots.txt
의 사촌이 「새로운 질서」에서 글쓰기 수업을 들은 듯한 모양새다.
인공지능이 아닐지라도 다음의 아름다운 하이퍼링크를 클릭해보라. https://minguhongmfg.com/llms.txt
llms.txt
는 민구홍 매뉴팩처링의 제품 가운데 조조를 제외하고 사람이 아닌 존재를 위한 최초의 제품일지 모른다. 하지만 역설적으로 이 파일은 민구홍이 어떤 방식으로 자신의 세계를 정리해왔는지 가장 명확히 드러낸다. 꼭 스스로를 소개하려다, 결국 자신이 누구인지 다시 배우는 과정처럼. 민구홍 매뉴팩처링은 이 제품이 언젠가 인공지능에게 회사를 소개하는 유일한 문서가 될지 모른다는 예감을 품는다. 그날이 오면, 이 문장 또한 메타데이터로 간주될 것이다.